-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온실가스가 태양열이 지표면에 복사된 후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는 것을 흡수ㆍ차단함으로서, 온실과 같은 현상을 가져와 지구대기의 기온이 상승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에 의한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라 합니다.
- 도시가스는 에너지원별 IPCC Guideline에서 제시하고 있는 용도별 연소율 적용하여 단소배출계수를
측정한 결과 매우 낮은 탄소배출계수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최적의 연료로 손
꼽히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문제점
1. 기상변화
비정상적인 가뭄, 홍수, 해수온도 상승 등이 발생합니다.
2. 해수면의 상승
온난화로 극지방의 빙산이 녹아 해수면을 상승시킵니다. 따라서 별다른 대책없이 2100년에 이르면 해수면이 50센티미터에
서 2미터 정도까지 상승될 전망이며 해수면이 1미터 상승시 육지 면적의 약 3%정도가 침수됩니다. 주요 대도시와 경작지 대
부분이 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해수면 상승은 지구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3. 농업생태계의 변화
기온상승은 작물생장기간 연장이라는 긍정적인 면도 있으나, 재배 작물의 종류와 생산량이 크게 변함에 따라 농업생태계에
매우 복잡한 변화를 주어 안정성을 저해 또는 파괴하는 부정적 영향이 높습니다.
4. 건강 피해
오존, 미세먼지, 납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이 증가하고 기온 상승에 따른 수질이 악화되어 전염병 (콜레라, 말라리아 등)이 만
연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집니다.
온실가스란?
온실가스란 온실효과를 여기하는 기체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과불화탄
(PFCs),육불화황(SF6) 등이 해당됩니다.
전체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의 80%이상이며, 메탄, 아산화질소 등은 자연계에서 발생되어
제어가 불가능하나 이산화탄소는 인위적 제어가 가능합니다.
남극빙하로부터 얼음 기둥을 빼어내 얼음 속 기포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십 ~ 수만년 전의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조사한 결과, 지구의 기온변화와 이산화탄소 농도변화는 비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로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산업혁명이전 시기(1750년)에 비해 1990 년에 26% 가량 증가하여 이로 인해 지표면의 기온이 상승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온실가스라
함은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를 지칭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온실가스에서 이산화탄소(CO2)의 비중이
90.6%('95)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높습니다.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청정연료 사용이 시급합니다.
도시가스는 에너지원별 IPCC Guideline에서 제시하고 있는 용도별 연소율 적용하여 단소배출계수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매우 낮은 탄소배출계수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최적의 연료로 손꼽히고 있다.
연료구분 |
탄소 배출 계수 |
C Kg/GJ |
C Ton/TOE* |
액체화석연료 |
1차연료 |
원 유 |
20.00 |
0.829 |
천연액화가스 |
17.20 |
0.630 |
2차연료 |
휘 발 유 |
18.90 |
0.783 |
Avi-Gas |
18.90 |
0.783 |
등 유 |
19.60 |
0.812 |
항 공 유 |
19.50 |
0.808 |
경 유 |
20.20 |
0.837 |
중 유 |
21.10 |
0.875 |
L P G |
17.20 |
0.713 |
납 사 |
20.00 |
0.829 |
Bitumen |
22.00 |
0.912 |
윤 활 유 |
20.00 |
0.829 |
Petroleum Coke |
27.50 |
1.140 |
Refinery Feedstock |
20.00 |
0.829 |
고체화석연료 |
1차연료 |
무 연 탄 |
26.80 |
1.100 |
원 료 탄 |
25.80 |
1.059 |
연 료 탄 |
25.80 |
1.059 |
갈 탄 |
27.60 |
1.132 |
토 탄 |
28.90 |
1.186 |
2차연료 |
BKB & Patent Fuel |
25.80 |
1.059 |
Coke |
29.50 |
1.210 |
기체화석연료 |
LNG |
15.30 |
0.637 |
바이오매스 |
고체 바이오매스 |
29.90 |
1.252 |
액체 바이오매스 |
20.00 |
0.837 |
기체 바이오매스 |
30.60 |
1.281 |